맨위로가기

보성 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성 오씨는 중국 오나라 왕족의 후예로, 오태백을 시조로 한다. 500년 신라에 오첨이 입국하여 정착한 것을 시작으로, 고려 시대 오현필이 보성군에 봉해졌다. 양숙공파, 양무공파 등 여러 분파가 있으며, 화순 오씨, 함양 오씨 등으로 분관되기도 했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개국공신 오몽을, 조선 시대 오점, 오자경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오강표, 오교선 등이 항일 운동에 참여했다. 현대에는 국회의원 오유방, 행정자치부 장관 오영교 등이 있다. 보성 오씨는 충청북도 청주시 일원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15년에는 71,162명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성 오씨 - 오제세
    오제세는 서울대학교 행정학과와 환경대학원을 졸업하고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윤석열 대통령 후보 캠프 활동 후 국민의힘에 입당, 현재 대한장애인농구협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나 여러 논란에 휩싸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보성 오씨 - 오하영 (가수)
    오하영은 걸그룹 에이핑크 멤버이자 솔로 가수 및 배우로 활동하며, 게임 관련 프로그램 MC 및 광고 모델, '오정박합' 유닛 활동, 유튜버 콜라보레이션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최크리에이티브랩으로 이적하여 에이핑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보성 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보성군
이름
한글보성 오씨
한자寶城吳氏
로마자 표기Boseong O ssi
기원
시조오현필(吳賢弼)
관향전라남도 보성군
집성촌
주요 인물
통계 (2015년)
인구71,162명

2. 기원

오씨의 유래는 춘추전국시대 중국 장강(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제후국이었던 오(吳)나라에서 시작되었다. 고대 중국 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일족으로 주나라의 고공단보(古公亶父) 주 태왕(周太王)의 장남인 오 태백(吳太伯)을 시조로 하여 희성(姬姓)에서 나왔다. 제후국 오(吳)나라는 주태왕의 장남 오태백을 초기 군주로 시작하여 하대 자손인 부차왕의 손자인 루양부터 주나라 천자로부터 오(吳)씨 성을 하사받아 오씨가 되었으며, 비로소 오(吳) 나라의 왕으로 되었다.

3. 역사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인 '''오첨'''(吳瞻)이 500년(지증왕 1)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 오첨은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함양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

오첨(吳瞻)의 24세손인 오현필(吳賢弼)은 1216년(고종 3)에 거란군을 격퇴한 공으로 보성군(寶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오현필의 묘소는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취리산에 있다.

4. 분파


  • 양숙공파
  • 양무공파
  • 부위공파
  • 종파
  • 장기공파
  • 감역공파
  • 판관공파
  • 사직공파
  • 지평공파
  • 대사성공파
  • 어모장군공파
  • 예문제학공파
  • 판윤공파
  • 병판공파
  • 정략장군공파
  • 좌상공파
  • 탄성공파
  • 통정공파
  • 장사랑공파 등
  • 쟁기공파
  • 진사공파
  • 화산공파
  • 참의공파
  • 국은공파
  • 월봉제파
  • 덕계공파

4. 1. 분관

오현필의 첫째 아들 오숙부와 둘째 아들 오양은 보성 오씨를 계승했으며, 셋째 아들 오원은 화순 오씨, 넷째 아들 오광휘는 함양 오씨로 분관했다. 오현필의 둘째 아들 오양의 6세손 오중권은 흥양 오씨, 오현필의 6세손 오사염의 둘째 아들 오천우는 장흥 오씨로 다시 분관했다.

5. 주요 인물

5. 1. 역사 인물


  • 오몽을(吳蒙乙, ? ~ 1398년) : 1380년(우왕 6)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고려 말에 대장군을 지내고, 조선의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 오점(吳點, 1373년 ~ 1444년) : 1401년(태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세종 때 대사성을 역임했다.
  • 오자경(吳子慶, 1414년 ~ 1478년) : 세조 즉위를 도와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2등에 책록되었고, 1467년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책록되어 보산군(寶山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양무(襄武)이다.
  • 오덕명(吳德明, 1675년 ~ 1732년) :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여 분무원종일등공신(奮武原從一等功臣)에 올랐다.
  • 오저(吳著, 1714년 ~ 1794년) : 1756년(영조 32)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정랑, 장령(掌令), 군자감정, 공조참의, 돈녕도정, 한성부좌윤을 거쳐 1794년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일제강점기

  • 오강표(吳剛杓): 항일애국지사
  • 오교선(吳敎善): 항일독립운동
  • 오익표(吳翼杓): 상해임시정부 충청도의정원의원

5. 2. 일제강점기 인물


  • 吳剛杓/오강표한국어: 항일애국지사이다.
  • 吳敎善/오교선한국어: 항일독립운동을 하였다.
  • 오익표(吳翼杓): 상해임시정부 충청도의정원의원으로 활동했다.

5. 3. 현대 인물

오유방(吳有邦)은 제9·10·13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오영교(吳盈敎)는 제7대 행정자치부 장관, 제16대 동국대학교 총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오범식(吳範植)은 제16대 재무부 차관을 역임했다. 오병하(吳炳夏)는 제22대 충청북도 청주시장을 역임했다. 오효진(吳效鎭)은 민선 3기 충청북도 청원군수를 역임했다. 오제세(吳濟世)는 제17·18·19·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오덕균(吳德均, 1934년 ~ )은 제11대 충남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오웅진(吳雄鎭, 1945년 ~ )은 가톨릭 신부이자 꽃동네대학교 초대 총장이다. 오재응(吳在應, 1951년 ~ )은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이다. 오병철(吳炳喆, 1965년 ~ )은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다.

오찬영(吴灿泳중국어, 1996년 ~ )은 대한민국 배우이다. 오하영(吳夏榮, 1996년 ~ )은 대한민국 아이돌 걸그룹 에이핑크의 멤버이다. 오해균(吳海均, 1955년 ~ )은 대한민국 작곡가, 소설가, 아동 문학가이자 세광음반 대표이다. 오종민(吳宗珉, 1988년 ~ )은 대한민국 가수, 작곡가, 라디오 DJ이자 해마음악소 대표이다.

6. 항렬자

보성 오씨 항렬표는 다음과 같다.[4]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
영(永)口근(根)연(然)口기(基)석(錫)口수(洙)병(秉)口섭(燮)재(在)口호(鎬)
口치(治)
영(泳)口식(植)
口표(杓)
병(炳)口교(敎)
口규(圭)
종(鍾)口연(淵)인(寅)口열(烈)기(基)口선(善)태(泰)
口필(必)
口영(榮)
口동(東)
현(顯)
노(魯)
口중(重)
口원(遠)
현(鎔)
진(鎭)
口순(淳)
口호(浩)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
상(相)
口응(應)
口환(煥)
종(宗)
口선(先)
재(在)
형(亨)
계(啓)
口현(鉉)
口석(錫)
口호(鎬)
口준(俊)
영(永)
口연(淵)
영(永)
口식(植)
口수(秀)
세(世)
병(炳)
희(熙)
口균(均)口진(鎭)口영(泳)口근(根)口훈(勳)口중(重)口선(善)口원(源)口래(來)口열(烈)口달(達)口종(鍾)


6. 1. 양무공파

wikitable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
영(永)口근(根)연(然)口기(基)석(錫)口수(洙)병(秉)口섭(燮)재(在)口호(鎬)
口치(治)
영(泳)口식(植)
口표(杓)
병(炳)口교(敎)
口규(圭)
종(鍾)口연(淵)인(寅)口열(烈)기(基)口선(善)태(泰)
口필(必)
口영(榮)
口동(東)
현(顯)
노(魯)
口중(重)
口원(遠)
현(鎔)
진(鎭)
口순(淳)
口호(浩)


6. 2. 부위공파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
상(相)



○세손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행렬자[4]상(相)선(先)계(啓)호(鎬)영(永)세(世)균(均)진(鎭)영(泳)근(根)훈(勳)중(重)선(善)원(源)래(來)열(烈)달(達)종(鍾)


7. 집성촌

충청북도 청주시 일원 (오창읍 화산리, 현도면 달계리, 매봉리, 시목리, 양지리, 중척리, 낭성면 삼산리)[4]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성동리, 공주시 우성면 대흥리, 신웅리, 보흥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리,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귀산리, 구산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청하면 관상리 등이 보성 오씨 집성촌이다.

8. 인구

보성 오씨는 1985년에는 12,342가구에 52,544명, 2000년에는 18,229가구에 59,914명이었다. 2015년에는 71,162명으로 조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보성 오씨 https://terms.naver.[...]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보성오씨 寶城吳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4] 웹사이트 오씨(吳氏) 본관(本貫) 보성(寶城)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웹인용 보성오씨 [寶城吳氏] https://terms.naver.[...] 두산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